Computer Science/Network
-
[Network] 계층 간 데이터 송수신 과정Computer Science/Network 2024. 4. 22. 17:58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일어난다. 1.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전송 계층으로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청 값들이 캡슐화 과정을 거쳐 전달된다. 2. 링크 계층을 통해 서버와 통신을 한다. 3. 서버의 링크 계층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비캡슐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가 전송된다. 캡슐화 캡슐화 과정은 상위 계층의 헤더와 데이터를 하위 계층의 데이터 부분에 포함시키고 해당 계층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과정을 말한다. 1.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데이터가 전송 계층으로 전달되면서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화 되며 TCP(L4) 헤더가 붙여진다. 2. 인터넷 계층으로 가면서 IP(L3) 헤더가 붙여지며 '패킷'화 된다. 3. 링크 계층으로 가면서 프레임 헤더와 프레임 트레일러가 붙어 '..
-
[Network] TCP/IP 4계층Computer Science/Network 2024. 4. 16. 17:39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TCP/IP 4계층 모델과 OSI 7계층 모델이 있다. 국제 표준 모델은 OSI 7계층이지만 실제 대다수 프로그램은 TCP/IP 계층 모델을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이며 웹 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층이다.. ex) FTP, HTTP, SSH, SMTP, DNS 전송 계층전송 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를 제공하며, 애플레키이션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의 중계 역할을 한다. ex) TCP, UDP TCPTCP는 패킷..
-
[Network] 유선 LAN과 무선 LANComputer Science/Network 2024. 3. 28. 17:39
유선 LAN의 통신 유선 LAN을 이루는 이더넷은 IEEE802.3 프로토콜을 따르며 전이중화 통신을 쓴다. 전이중화 통신 전이중화 통신은 송신로와 수신로로 나눠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양쪽 장치가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현대의 고속 이더넷은 이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한다. CSMA/CD 이전에는 유선 LAN에 반이중화 통신 중 하나인 CSMA/CD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보낸 이후 충돌이 발생한다면 일정 시간 이후 재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수신로와 송신로를 각각 둔 것이 아니고 한 경로를 기반으로 보내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낼 때 충돌에 대해 대비해야 했기 때문이다. 유선 LAN을 이루는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하나의 케이블처럼 보이지만 실..
-
[Network] TCP 연결 성립 과정, 연결 해제 과정Computer Science/Network 2024. 3. 27. 16:10
TCP 연결 성립 과정 TCP는 신뢰성을 확보할 때 '3-way handsahke' 라는 작업을 진행한다. 1. SYN 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ISN(Initial Sequence Numbers)을 담아 SYN(Synchronization)을 보낸다. ISN은 새로운 TCP 연결의 첫 번째 패킷에 할당된 임의의 시퀀스 번호를 말하며 이는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2. SYN + ACK 단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을 수신하고 서버의 ISN을 보내며 승인번호로 클라이언트의 ISN + 1을 보낸다. 3. ACK 단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SN + 1한 값인 승인번호를 담아 ACK(Acknowledgement)를 서버에 보낸다.\ 이렇게 '3-way handsahke' 과정 이후 신뢰성이 구축..
-
[Network] 네트워크 분류Computer Science/Network 2024. 3. 22. 17:10
네트워크는 규모를 기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LAN LAN(Local Area Network)은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같은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좁은 공간에서 운영되며 전송 속도가 빠르고 혼잡하지 않다. M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은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도시 같은 넓은 지역에서 운영되며 전속 속도가 평균이고 LAN보다 혼잡하다. WAN WAN(Wide Area Network)은 광역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국가 또는 대륙 같은 더 넓은 지역에서 운영되며 전송 속도가 낮고 MAN보다 더 혼잡하다.
-
[Network]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 현상Computer Science/Network 2024. 3. 21. 16:18
네트워크 토폴로지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는 노드와 링크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방식이자 연결 형태를 의미한다. 트리 토폴로지 트리 토폴로지는 트리 형태로 배치한 네트워크 구성을 말하며, 계층형 토폴로지라고 한다. 노드의 추가, 삭제가 쉬우며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집중될 때 하위 노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버스 토폴로지 버스 토폴로지는 중앙 통신 회선 하나에 여러 개의 노드가 연결되어 공유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말하며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사용한다. 노드의 추가, 삭제가 쉬우며 설치 비용이 적고 신뢰성이 우수하지만 스푸핑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스푸핑 스푸핑은 LAN상에서 송신부의 패킷을 송신과 관련 없는 다른 호스트에게 가지 않도록 하는 스위칭 기능을 마비시키..
-
[Network] 네트워크의 기초Computer Science/Network 2024. 3. 20. 19:27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지 않은 집합체다. 노드는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한다. 좋은 네트워크는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를 말한다. 기본 용어 정리 처리량 처리량(throughput)이란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 양을 말한다. 단위로는 bps(bits per second) 를 쓴다. 처리량은 트래픽, 대역폭, 에러,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는다. ex) 도로를 통과한 차의 양 트래픽 트래픽(traffic)이란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ex) 도로를 통과하고 싶은 차의 양 대역폭 ..